전체 글 (182)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년 7월 결산. BAA 전략 Dr. Wouter J. Keller의 Balanced BAA, Aggressive BAA 전략과 이를 기반으로 과최적화 시킨 Overfitted BAA II & III 의 2023년 7월 결산을 알아보자. 루틴 차원에서 추세를 파악해보자. 전략 대한 설명은 맨 하닥에 링크를 걸어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배당 수익률을 모두 재투자했다고 가정했고, 백테스팅 기간은 2006.1 부터 2023.7까지이고 모멘텀 계산을 위한 초반 lagging period 를 빼면 2007.2 부터 총 17.X년이다.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그리고 2022년 (고인플레이션, 고금리) 을 포함하고 있어서 모델를 테스트하기에는 충분한 기간인 것 같다. 야후 파이낸스 월말 수정 종가를 이용하였다... 경기 사이클의 각 단계, 어떻게 투자해야 좋을까? https://blog.naver.com/jeunkim/223171474597 경기 사이클의 각 단계, 어떻게 투자해야 좋을까? 경기 사이클은 경기 확장기 최고점에서 경기 침체기 최저점까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하며, 각 단계별로... blog.naver.com 주식 데이터 준비 - 다운로드 및 수집 파이썬을 이용해 주식 데이터를 다운받아 보도록 하자. 다음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당연히 컴퓨터에 파이썬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 주식 데이터는 yfinance libary를 통해 다운로드 받았다. 각자가 선호하는 라이브러리/데이터 소스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 테스트 삼아 2005-1-1 부터 2023-7-28 까지 VTI (미국 전체 주식), BIL (미국 단기 채권) ETF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았다. - data_collection 이라는 pandas dataframe 에 두 ETF 정보를 저장하였다. 관심사는 Adj Close (수정 종가) 이기 때문에 나머지는 삭제하였다. - Daily 정보에서 각 달의 마지막 Adj Close 가격을 샘플링하였다. 위에 코드가 제대로 실행되었다면 data_c.. 버핏옹 내 맘대로 따라하기 - 2023년 7월 결산 동적자산배분의 발 빠른 장기 현금 시그널로 인해 다행히 큰 손해는 면했는데, 이 이점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저점 매수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점 매수 전략은 사실 동적자산배분의 핵심과 반대되는 개념이라 헷지 및 시너지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가치 투자의 반대 개념은 성장주 투자가 아니라 모멘텀 투자다. 그렇다면 무엇을 살지가 고민인데, 개인 종목을 분석할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면 애초에 동적자산배분을 시작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존경하는 버핏옹이 투자하고 있는 곳 (향후 몇 년 안에는 망하지 않을 거라는 확신이 있다)에 투자하려고 이리저리 분석하다가 나만의 시그널을 찾게 되었다. 물론 대단한 것도 아니고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 운이 좋아서, 이 방법으로 투자한 것이 동적자산배분으로 인.. 정적 자산 배분 총 출동 지난번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에 실망 후 정적 자산 배분 전략에 대해 검색을 해보았다. 쉬운 컨셉이라 다양한 제안들이 있었고 과연 무엇이 좋을지 한번 다 테스트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았다. 마침 '게으른 퀀트' 님도 예전에 정적 자산 배분에 대해 포스팅해놓았고, 아래 포트폴리오 정도면 충분한 비교가 될 거라 판단했다. 주식이라 해도 어떤 ETF 를 담느냐에 따라 성과가 굉장히 다를 수 있다. 계산을 위해 특정 ETF 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임의적 선택에 가까운 것 같다. 예를 들어 SPY, VOO ETF 모두 S&P500 지수를 추종하지만 운용 수수료와 같은 디테일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워렌버핏 포트폴리오의 경우 VV 90% 와 BIL 10 % 로 이루어지는데 버핏옹.. 버핏옹 내 맘대로 따라하기 - 2023년 6월 동적자산배분의 발 빠른 장기 현금 시그널로 인해 다행히 큰 손해는 면했는데, 이 이점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저점 매수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점 매수 전략은 사실 동적자산배분의 핵심과 반대되는 개념이라 헷지 및 시너지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무엇을 살지가 고민인데, 개인 종목을 분석할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면 애초에 동적자산배분을 시작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존경하는 버핏옹이 투자하고 있는 곳 (향후 몇 년 안에는 망하지 않을 거라는 확신이 있다)에 투자하려고 이리저리 분석하다가 나만의 시그널을 찾게 되었다. 물론 대단한 것도 아니고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 운이 좋아서, 이 방법으로 투자한 것이 지난 2년간 누적된 동적자산배분 전략의 손실을 금세 다 회복시켜 주었다. 버크셔 .. 레이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아직 살아 있을까 경제가 이렇든 저렇든 매일 주식 계좌를 들여다보지 않고 마음 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에는 주식 60/ 채권 40, 올웨더 포트폴리오와 같은 정적 자산 배분 전략이 있다. 정적 자산 배분 전략은 상관관계가 적은 자산군을 정해진 비율대로 투자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각 자산군의 가격에 변화가 생기므로 처음 투자한 비율과 다른 상태이다) 그 비율로 자산 분배를 다시 한다. 이를 리밸런싱이라고 한다. 몸과 마음이 편한 투자 방법인만큼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이나 개별주 투자보다는 수익률이 떨어지지만 투자에 큰 관심이 없는 사람들, 자산이나 수입이 충분해서 리스크를 감당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다. 기관 (예: 뱅가드) 에 은퇴 계좌 운용을 맡기면 은퇴까지 남은 시간을 반영하여 이러한 .. 2023년 6월 결산. 변형 듀얼 모멘텀 전략 모든 동적 자산 전략의 기본이 되는 듀얼 모멘텀 전략을 변형시켜 변형 듀얼 모멘텀 전략을 만들었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 나타난 주식과 채권 모두 동반 하락하는 상황을 막고자 현금 자산 혹은 안정 자산에 변화를 주어 좀 더 안전한 전략이 되었다. 안전 자산을 채권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을 기본적으로 이용하되, 채권시장이 붕괴될 시에 Cash를 보유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투자를 만들어준다. 공격자산군으로는 경기에 민감한 반도체 (XSD) 와 바이오 (XBI) ETF를 포함시켜 주식 시장 (SPY, VOT) 을 잘 따라가되 경기 변화에 더 민감하도록 설계되었다. MDD 가 수익률을 고려할 때 높은 게 흠이기는 하지만, 다른 동적 자산 배분 전략과 시너지가 있어 개인적으로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는 동적 자산 .. 이전 1 ··· 5 6 7 8 9 10 11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