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82) 썸네일형 리스트형 HAA로 알아보는 11-4 천국/5-10 지옥 전략 강환국 유튜버가 미는 11-4 천국, 5-10 지옥 컨셉은 11월부터 4월까지의 수익률이 5월부터 10월까지의 수익률을 앞선다는 단순 통계에 기반한 투자 전략이다. 새로운 HAA 전략의 계절성과 11-4 천국, 5-10 지옥 컨셉이 HAA 에도 통하는지 계산해 봤다. 배당 수익률을 모두 재투자했다고 가정했고, 백테스팅 기간은 2005.1 부터 2023.2까지이고 모멘텀 계산을 위한 초반 lagging period 를 빼면 2006.2 부터 총 17.1 년 이다.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그리고 2022년 (고인플레이션, 고금리) 을 포함하고 있어서 모델를 테스트하기에는 충분한 기간인 것 같다. 월말 수정 종가를 사용하였고 슬리피지는 고려하지 않았다. 월평균 수익률은 단순히 월 평균.. 대박 퇴직연금을 위한 HAA 활용 전략 최근 나온 켈러씨의 HAA 전략은 이전 전략들과는 다르게 무척이나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우상향 했다. 그 수익률은 크게 놀랍지는 않지만, 그 간단한 계산 방법은 401K 계좌에 딱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오늘은 Dual401K 전략과 궁합을 살펴봤다. Dual401K 전략 개인적으로 실제 401K 계좌에서는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회사가 제공하는 뱅가드 401K 계좌는 몇 안되는 제한된 상품에만 투자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데이터를 구할 수 없거나, 운용기간이 너무 짧아 백테스트가 불가능한 상품은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니 사실상 동적 자산 배분 전략에 이용 가능한 옵션이 적었다. 자세한 사항은 하단에 이전 관련 포스팅 링크를 참고하길 바란다. 최근에 발표된 HAA 전략에서 켈러씨는 기본 HAA 전략.. HAA 계산 검증 참고 자료 본인의 계산 검증을 위해 다른 사람의 결과와 교차 검증 (cross validation)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나 동적 자산 배분에 있어서는 우리의 소중한 재산이 달려 있는 문제라 더욱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최근 계속해서 현금 시그널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계산이 대체로 쉽게 맞아 떨어질텐데 이에 만족하지 말고 2020년 초반 결과와 비교 검증해 볼 것을 추천한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연복리 수익률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을 연구하면서 '어느 정도 수익률을 기대하는 게 현실적일까', '어느 정도면 만족할 수 있을까' 생각이 들었다. 분명 MDD 측면에서는 단일 종목을 buy&hold 하는 것보다 훨씬 좋은 방법임은 틀림없지만 슬리피지를 고려할 경우 현격하게 낮아지는 수익률을 보고 있으면 이 귀찮음을 감수해서 그 정도의 수익률 밖에 못 올리는 방법을 고수하는 게 맞나 하는 생각도 든다. 단일 종목의 total return (배당 재투자) 에 대한 수익률을 점검해 보고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의 수익률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해 보고자, 2023년 3월 17일 기준 S&P 상위 20 종목의 연평균복리 수익률 (CAGR) 과 MDD를 계산해 보았다. Ranking Ticker CAGR, % MDD, % Not.. 과최적 (overfitted) BAA 전략 III 23년 들어서면서 슬리피지를 고려하여 BAA 전략 과최적화를 했었는데, 포스팅 하는 걸 놓쳤었다. 지난번과 비슷한 방법으로 과최적화를 진행하였고 예전과는 다르게 슬리피지 코스트 0.5 % 를 고려하였다. 또, 이전 BAA 전략들과는 다르게 투자하는 공격 자산수 TO = 1, 투자하는 수비 자산수 TD = 2 로 회전율을 낮추고자 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최상의 조합은 SPY, QLD, IYF, EEM 였다. QLD - ProShares Ultra QQQ (QQQ 2배 레버리지) IYF - iShares US Financials ETF 다음 백테스팅은 배당 수익률을 모두 재투자했다고 가정했고, 백테스팅 기간은 2006.1부터 2023.2까지이고 모멘텀 계산을 위한 초반 lagging period 를 빼.. HAA (Hybrid) vs. BAA (Bold) 전략 성과 비교 2023년 켈러씨의 새로운 HAA(Hybrid Asset Allocation) 전략과 2022년 공개된 BAA (G4-T1, 공격형) 전략을 비교해보려 한다. 켈러씨에 따르면 HAA 전략은 더 간단하고, 안정적이면서도 BAA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현금 보유 비율을 가져감으로써 수익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었다고 한다. BAA 대비 가장 큰 특징은 고려하는 자산들의 수가 대폭 줄어들고, 물가연동채권 TIP 를 카나리아 시그널로 사용하여 금리 및/또는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시기를 감지, 이를 바탕으로 수비 자산 혹은 공격 자산에 투자할지를 결정하는 점이다. 두 전략의 자세한 사항은 하단에 이전 관련 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란다. 다음 백테스팅은 배당 수익률을 모두 재투자했다고 가정했고, 백테스팅 기간은 2005.1.. 백테스팅으로 알아보는 HAA 전략 대박 조짐 2023년 2월 버전의 새로운 HAA(Hybrid Asset Allocation) 전략은 2022년 공개된 BAA(Bold Asset Allocation)의 후속 버전이다. 이 전략의 목표는 (개미 투자자를 위해) 간단하고, 안정적이면서도 이전 BAA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현금 보유 비율을 가져감으로써 수익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었다. 물가연동채권 TIP 를 카나리아 시그널로 사용하여 금리 및/또는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시기를 감지, 이를 바탕으로 수비 자산 혹은 공격 자산에 투자할지를 결정한다. 켈러씨 전략 중 역대급 전략으로 꼽힐 것 같다. 이해를 잘못해서 백테스팅을 점검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했다. 오류를 찾아내고 보니, 이전 BAA 전략과 기본 골격을 같이하고 있었다. 엄청 돌아왔다. 새로운 HAA.. HAA 전략 (Hybrid Asset Allocation) 핵심 정리 2023년 2월 버전의 새로운 HAA(Hybrid Asset Allocation) 전략은 2022년 공개된 BAA(Bold Asset Allocation)의 후속 버전이다. 이 전략의 목표는 (개미 투자자를 위해) 사용하기 간단하고, 안정적이면서도 수익성을 높이고 BAA보다 낮은 현금 보유 비율을 가져가는 것이다. 기존 Dual 모멘텀 전략과 '카나리아' 자산군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략을 통해 효과적으로 손실을 방어한다. 단일 카나리아 자산 (이전에는 카나리아 자산'군'을 사용하였다) 을 사용하여 금리 및/또는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시그널을 찾아낸다. 이 방식을 통해 더 간단한 모델로 BAA 대비 현금 보유 기간을 절반으로 줄이고 수익/위험 비율을 Balanced BAA 보다 나은 전략을 만들었다. 관심..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