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 (171) 썸네일형 리스트형 Balanced Bold Asset Allocation (BAA 전략 I) Dr. Wouter J. Keller (이하 켈러씨) 의 새로운 전략이 나왔다. 강환국 유튜브 덕분에 빠른 소식을 접할 수 있었다. https://youtu.be/CclFfZVSx9k 강환국 유튜브 - BAA 전략 논문을 실제로 읽어보는 것은 처음인데, 켈러씨가 과거에 만든 전략에 익숙한 터라 생각보다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이곳에 정리해보려고 한다. 이번 논문의 목표는 전에 만들었던 PAA, VAA, DAA 전략을 혼합하여 매우 공격적인 자산 배분 전략을 만드는 데 있다고 초록에서 밝히고 있다. 원리상 '느린' 상대 모멘텀, '빠른' 절대 모멘텀, 그리고 카나리 자산군 개념을 이용한 '충격 방지', 이 세 가지를 혼합하여 BAA 전략을 만들었다. 또한 세 가지 자산군 - 공격 자.. 동적 자산 배분 투자 타이밍 이제 막 투자를 시작하려고 할 때 언제 어떻게 투자를 시작해야 할지 고민스럽다. 나 또한 주식과 투자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되었을 때 준비가 안된 상태로 투자에 바로 뛰어들었던 게 기억이 난다. 당시 칵테일파티에서 모두가 투자 얘기를 할 때라 달콤했던 초심자의 행운을 뒤로하고 당연히 손해가 났다. 다행히 가진 돈도 얼마 안 되어서 큰 타격은 아니었고 괜찮은 레슨비라고 생각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동적 자산 배분을 통한 투자를 하고 있고 투자 타이밍에 궁금증이 생겨서, 투자 타이밍이 동적 자산 배분 전략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 VTI/Cash 전략을 이용해 분석해봤다. VTI/Cash 전략은 듀얼 모멘텀 전략에 기반하여 내가 정한 특정 기준에 의해 매월 첫날 VTI ETF나 Cash, 둘 중 한 군데 투자하는.. 40/60 수익률 깨기 - 현금 자산 전략 IV 동적 자산 배분에서 현금성 자산을 보통 SHY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를 이용하는데 지난 글에서 이를 벤치마크로 하는 안정적인 현금 자산 전략 I을 소개했다. CashPortfoilo I || CAGR: 1.87 % | MDD: -0.96 % | SharpeRatio: 1.77 SHY || CAGR: 0.70 % | MDD: -3.71 % | SharpeRatio: 0.67 또한 수익률을 개선한 현금 자산 전략 II vs. 벤치마크 LQD CashPortfoilo II || CAGR: 3.65 % | MDD: -1.39 % | SharpeRatio: 1.95 LQD || CAGR: 2.64 % | MDD: -17.62 % | SharpeRatio: 0.40 그리고.. TLT 수익률 깨기 - 현금 자산 전략 III 자산이 늘어날수록 절대적인 수익률보다는 잃지 않는 게임, 즉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더라도 리스크 혹은 MDD가 낮은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이 오랜 기간 동안 스트레스 받지 않고 투자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 그리고 실제 여러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을 백테스트하다 보면 포트폴리오에 현금성 자산을 포함하고 그 비중을 조정하는 것이 MDD를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했다. 동적 자산 배분에서 현금성 자산을 보통 SHY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를 이용하는데 지난 글에서 이를 벤치마크로 하는 극도로 안정적인 현금 자산 전략 I 을 소개했다. CashPortfoilo I || CAGR: 1.87 % | MDD: -0.96 % | SharpeRat.. 가계부실위험지수, 가계지수, 가계순저축률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 금상 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et Ratio)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이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가구’로 분류한다. 위험가구는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DTA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DSR가구’로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위험 및 고위험 가구는 가구의 채무상환능력 취약.. LQD 수익률 깨기 - 현금 자산 전략 II (29) 자산이 늘어날수록 절대적인 수익률보다는 잃지 않는 게임, 즉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더라도 리스크 혹은 MDD가 낮은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이 오랜 기간 동안 스트레스 받지 않고 투자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 그리고 실제 여러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을 백테스트하다 보면 포트폴리오에 현금성 자산을 포함하고 그 비중을 조정하는 것이 MDD를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했다. 동적 자산 배분에서 현금성 자산을 보통 SHY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를 이용하는데 지난 글에서 이를 벤치마크로 하는 극도로 안정적인 현금 자산 전략을 소개했다. CashPortfoilo I || CAGR: 1.87 % | MDD: -0.96 % | SharpeRatio:.. SHY 수익률 깨기 - 현금 자산 전략 I 자산이 늘어날수록 절대적인 수익률보다는 잃지 않는 게임 즉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더라도 리스크 혹은 MDD가 낮은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이 오랜 기간 동안 스트레스 받지 않고 투자할 수 있는 동력이 된다. 그리고 실제 여러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을 백테스트 하다 보면 포트폴리오에 현금성 자산을 포함하고 그 비중을 조정하는 것이 MDD를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했다. 동적 자산 배분에서 현금성 자산을 보통 SHY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를 이용한다. SHY는 1-3년 단기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ETF이다. 2002년 7월 운용을 시작한 이래로 총 누적 수익률은 40%이다. 현금성 자산치고는 생각보다 높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위에 수익.. 미국 채권 ETF 리스트 정리 2022년 7월 말 기준 거래 상위 채권 ETF 리스트 (116개) 운용 시작일이 2007년 8월 전(2022/7 기준 - 15년)인 ETF 리스트 (19개) 운용 시작일이 2012년 8월 전(2022/7 기준 - 10년)인 ETF 리스트 (65개) 운용 시작일이 2017년 8월 전(2022/7 기준 - 5년)인 ETF 리스트 (102개)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