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자산배분의 발 빠른 장기 현금 시그널로 인해 다행히 큰 손해는 면했는데, 이 이점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저점 매수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점 매수 전략은 사실 동적자산배분 (모멘텀 전략)의 핵심과 반대되는 개념이라 헷지 및 시너지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렇다면 무엇을 살지가 고민인데, 개인 종목을 분석할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면 애초에 동적자산배분을 시작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존경하는 버핏옹이 투자하고 있는 곳 (향후 몇 년 안에는 망하지 않을 거라는 확신이 있다)에 투자하고자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는 어찌보면 아웃소싱과도 같은 개념이다. 세상에 많은 투자 관련 기관과 개인은 거금을 들여 나름대로의 치열한 분석을 함으로 우리는 그중 신뢰할만한 곳을 따라 투자하면 된다. 하지만 문제는 매수와 매도 타이밍이다. 보통 들고 있는 종목들은 공개하지만, 그 타이밍에 대해서는 공유하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보유 종목들을 공개하는 이유는 대부분 불순 의도가 있다고 생각한다.
래리 윌리엄스라는 유명 단기 트레이너가 있는데 장기 투자의 경우, 기업을 따로 분석하지는 않고 장기 투자를 잘하는 사람을 따라 투자하는데 그 대표적인 벤치 마크가 워렌 버핏이다. 워렌 버핏이 투자하는 종목을 따라가되, 다만 개인적으로 주식의 사이클을 분석해, 매수 타이밍을 정하고 버핏이 팔 때까지 장기적으로 보유한다고 한다. 나의 버핏옹 내 맘대로 따라하기 전략과 결을 같이 한다.
최근 버크셔 해셔웨이의 23년 3Q 13F 가 발표되었다.
https://whalewisdom.com/filer/berkshire-hathaway-inc
BERKSHIRE HATHAWAY INC Top 13F Holdings - WhaleWisdom.com
whalewisdom.com
다음은 최근에 발표된 13F - 버크셔 보유 상위 종목
상위 종목이던 ATVI 와 HPQ가 정리되었다.
버크셔의 2023 Q3 자료를 분석한 기사.
Berkshire Hathaway’s Third Quarter 2023 Portfolio Moves
Berkshire’s $313 billion very concentrated investment portfolio was trimmed to 45 companies, with tech, consumer staples, and financial stocks as the most significant exposures. Seven holdings were eliminated, and six decreased.
www.forbes.com
아래는 기사 내용 요약본
- 버크셔의 3,130억 달러 규모의 매우 집중된 투자 포트폴리오는 45개 회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지난 분기보다 3개 회사가 감소한 것. 버크셔는 해당 분기 동안 약 53억 달러의 주식을 순매도. 상위 5개 보유 종목이 전체 포트폴리오의 79% 이상을 차지. 버크셔의 포트폴리오는 S&P 500에 비해 기술, 에너지, 필수 소비재 및 금융 부문에 상당히 비중을 두고 있음
- 새로운 것은 Liberty Media 관련 주식 재편성. 위 Top Buys 에서 보듯이 LSXMA, LLYVK, LLYVA, BATRK
- 제너럴 모터스GM +2%(GM), Celanese (CE), 존슨앤드존슨JNJ -0.2%(JNJ), 프록터 앤 갬블PG -1.2% (PG), Mondelez(MDLZ), United Parcel Service(UPS) 및 Activision투자수익률 0.0%Blizzard(ATVI)는 해당 분기에 포트폴리오에서 제외
- 13F에는 해외 주식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위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버크셔해서웨이는 2020년 8월 말 일본 무역회사 5곳의 약 5% 인수를 발표 . 이들은 Itochu Corp., Marubeni Corp., Mitsubishi Corp., Mitsui & Co. Ltd., and Sumitomo Corp. 2023년 4월, 이들 회사의 지분을 7.4%로 늘렸다고 발표. 버핏은 이것이 장기 보유를 위한 것이며 버크셔는 여전히 지분을 9.9%로 늘릴 수 있다고 밝혔음
나만의 시그널. (2023년 11.17 기준) Total return (파란선)을 기준으로 빨간선이 시그널, 빨간점이 저가 분할 매수 시점을 나타낸다.
12개월 이동 평균선
3Q 중국발 악재로 인해 전고점 기준으로 꽤 떨어졌었는데 최근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MSFT 가 요즘 많이 올라와 시가총액이 거진 비슷해지거나 이미 역전이 되었다. 그래서 MSFT 도 조금 사놓긴했다.
2023년 3월 실리콘밸리은행 (SVB) 사태 이후에 떨어진 주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데 BAC. 최근 FOMC 미팅에서 금리 동결 뉴스와 함께 상승세이긴하나 확실한 시그널이 아닌거 같다. 하지만 위에서 보여주듯이 개인적으로는 좋은 저가 매수 구간에 있다고 생각한다.
저가 매수 구간에 들어와 있다. KO 에게는 흔한지 않은 시그널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기대 수익률이 너무 낮아 투자하고 있진 않다.
OXY 를 주워담기 시작하며 반대로 CVX 를 계속해서 팔고 있다. 최근에 특히 많이 떨어졌는데 BRK 가 크게 매도량을 늘려서 그런가 싶다. 저가 매수 구간에 들어오긴 했으나, BRK 포트폴리오에서 빠지고 있는 분위기라 패쓰.
계속해서 보유량/지분율을 높이고 있는 OXY. 25% 지분율이 넘어서 그런지 13F에서 생략되었다. 조사가 좀 더 필요하다. 위 시그널로 봤을때는 저가 매수 구간에 있다.
최근 FOMC 금리 동결 후 급상승하고 있는 MCO. 주목을 받지 않는 주식이라 그냥 잊고 있기 좋은 주식인듯하다.
히말라야 캐피탈 보유 종목
버크셔 해셔웨이와 더불에 개인적으로 신뢰할만한 히말라야 캐피탈도 항상 체크한다.
https://whalewisdom.com/filer/himalaya-capital-management-llc
HIMALAYA CAPITAL MANAGEMENT LLC Top 13F Holdings - WhaleWisdom.com
whalewisdom.com
보유 종목이 적고 포트폴리오가 확 바뀌지 않기 때문에 저가 매수 전략을 적용하기에 아주 좋다.
보시다시피, 2Q에 비해 바뀐것이 하나도 없다.
최근 다른 빅테크에 비해 주춤하지만, 그 직전 다른 빅테크들이 빠질때 잘 버텨주던 구글이다.
지난 3월 SVB 사태 이후 많이 떨어졌지만 BAC 와 같이 회복 중이다. 규모가 더 작은 은행이라 움직임의 폭이 크다.
개인 관심 종목
내 사랑 아마존. 3Q 주춤하는듯 했으나, 다시 잘 우상향 중이다.
버핏옹 따라하기 전략에 따라 다음 말일 혹은 다음 분기 발표까지 주목할 종목은
1) BAC 2) EWBC 3) Oxy
'자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11월 결산. 401K 전략 (Dual401K, HAA401K) (1) | 2023.12.03 |
---|---|
2023년 11월 결산. HAA 전략 (1) | 2023.12.03 |
2023년 10월 결산. 변형 듀얼 모멘텀 전략 (0) | 2023.11.02 |
2023년 10월 결산. BAA 전략 (0) | 2023.11.02 |
2023년 10월 결산. HAA 전략 (0) | 2023.11.02 |